스캔된 데이터의 Y축 해상도

현재 보고 계신 매뉴얼은 구버전입니다. 페이지 오른쪽 상단을 클릭하면 최신 버전의 매뉴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스캔된 데이터의 Y축 해상도는 대상 물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 데이터 포인트 사이의 거리입니다. 이는 인접한 두 프로필 사이의 거리와 같습니다. Y축 해상도는 스캔된 데이터의 정밀도뿐만 아니라 광도 이미지와 뎁스 맵의 종횡비를 결정합니다.

스캔이 트리거되는 속도는 인접한 두 프로필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므로 스캔된 데이터의 Y축 해상도를 결정합니다.

라인 스캔 트리거 소스가 다르면 스캔이 트리거되는 속도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도 달라집니다.

파라미터를 통해 Y축 해상도 조정

스캔된 데이터의 Y축 해상도에 대한 특정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 위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Y축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트리거 빈도

고정 속도로 스캔을 트리거하는 경우, 다음 방정식을 참조하여 필요한 Y축 해상도를 달성하기 위한 트리거 빈도 파라미터의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Y축 해상도(μm) = 레이저 프로파일러를 기준으로 대상 물체의 이동 속도(μm/s) ÷ 트리거 빈도

트리거 신호 계산 모드 및 트리거 간격

엔코더를 사용하여 스캔 과정을 트리거하는 경우, 다음 방정식을 참조하여 필요한 Y축 해상도를 달성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 계산 모드트리거 간격 파라미터의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Y축 해상도(μm) = 엔코더 분해능(μm) × 트리거 간격 ÷ 트리거 신호 계산 모드 × 4

엔코더 분해능은 레이저 프로파일러를 기준으로 아래 그림 속의 각 신호에 해당하는 대상 물체의 이동 거리(단위: μm)입니다.

encoder period

계산 예시

엔코더 분해능이 4μm이고 필요한 Y축 해상도가 20μm인 경우,

20 = 4 × 트리거 간격 ÷ 트리거 신호 계산 모드 × 4

위의 방정식을 단순화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1.25 × 트리거 신호 계산 모드 = 트리거 간격.

따라서 다음 파라미터 값은 기본적으로 Y축 해상도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트리거 신호 계산 모드 트리거 간격

1.25 (1 또는 2로 반올림)

2.5(2 또는 3으로 반올림)

5

저희는 귀하의 개인 정보를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당사 웹사이트는 귀하에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모두 수락"을 클릭하시는 경우, 귀하는 사의 쿠키 사용에 동의하게 됩니다. "모두 거부"를 클릭하시는 경우, 귀하가 이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추적되거나 기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일 쿠키가 사용됩니다.